본문 바로가기
Daily_투자

왜 ‘12H’라고 부를까?🧐 대체거래소 종목 표시의 숨은 뜻!

by dailybetterhub 2025. 4. 16.
반응형

📊 MTS나 HTS에서 ‘12H’라고 표시된 종목,
이제는 익숙하시죠? 😊
지난번 글에서 말씀드렸듯이
👉 ‘12H’는 대체거래소에서 거래 가능한 종목을 의미합니다.

하지만,
❓ 왜 하필이면 ‘12H’일까요?
단순히 숫자와 알파벳의 조합이 아닐 수도 있다는 사실! 지금부터 함께 알아볼게요 🕵️‍♀️

 

왜 ‘12H’라고 부를까? 대체거래소 종목 표시의 숨은 뜻!


🔍 12H의 의미는?

💡 12H는 “12시간 거래” 가능 종목을 의미합니다!
즉, 기존 정규장 시간 외에도 거래가 가능한 종목이라는 뜻이에요.

🕘 정규장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지만,📈 대체거래소(NEXT, KRX, ATS 등)에서는
오전 8시부터 밤 8시까지,무려 12시간 동안 거래가 가능해요!

 

그래서
📌 “12시간 거래 가능” → “12H
이렇게 간단히 줄여서 표기하게 된 거랍니다!


🧭 왜 이런 표기가 필요할까?

투자자 입장에서 보면,
정규장이 끝나도 더 긴 시간 동안 매매할 수 있는 종목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어야 해요 👀

그래서 증권사 HTS/MTS에서는📍 ‘12H’ 태그를 붙여 대체거래소 가능 종목을 구분해 표시하는 거죠!

👉 “이 종목은 장 마감 후에도 거래할 수 있어요~!”라는 표시인 셈이죠 😄

반응형

📚 정리해볼까요?

✔️ ‘12H’는 12시간 거래 가능 종목
✔️ 대체거래소(NEXT 등)에서 오후 8시까지 거래 가능
✔️ 투자자들이 장외 거래 가능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만든 표기
✔️ 증권사 HTS/MTS에서 사용되는 편의 표기

이제 ‘12H’가 보이면, “아, 이건 대체거래소에서도 거래되는 종목이구나!” 하고 👌바로 이해하실 수 있겠죠?

728x90
반응형